주식 정보

3. [주식 용어 설명] ROE란? ROE가 높은 기업 검색 방법? 자기자본/총자산이란?

존버개미 2022. 12. 24. 21:26

이번에는 주식 용어 중에 ROE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ROE는 PER/PBR과 더불어 주식 용어 중 기본이 되는 지표이다. 또한, ROE는 워런버핏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라고도 알려져 있다. 워렌 버핏은 ROE가 15% 이상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기업을 좋아한다고 한다. 워렌 버핏과 같은 투자의 대가도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다 보니 반드시 정확하게 이해했으면 한다. 

 

 

 

1. ROE의 의미

 

Return On Equity의 약자이고, 자본자본이익률을 의미한다. 즉, 투입한 자기 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10억으로 치킨집 사업을 시작했는데, 년간 2억의 순수익이 발생했다면 치킨집의 ROE는 20%가 된다.

 

  • ROE =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X 100
  • 치킨집 ROE = (2억 ÷ 10억) X 100 = 20%

 

 

 

2. 자기 자본이란?

 

총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을 자기 자본이라 부른다.
예를 들어, 10억짜리 아파트를 보유하고 있는데 은행대출이 3억이라면, 총자산은 10억이고 부채는 3억이고 자기 자본은 7억이 된다.

농담 삼아 대출(부채)도 자산이라고 말하는데, 경제학에서 틀린 말이 아니다. 대출을 많이 받으면 총자산이 늘어난다.

 

  • 자기 자본 = 총 자산 - 부채
  • 총 자산 = 자기 자본 + 부채

 

 

 

3. ROE 해석하는 방법, 착시효과?

 

기업의 ROE가 높다는 말은 투입한 자본 대비 돈을 많이 번다는 의미이다. 즉, 기업의 효율성이 높다는 의미이다. 그런데, 단기적인 ROE만 보고 주식 투자 결정을 하면 안 된다.

 

  • ROE =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X 100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ROE가 순간적으로 올라가는 착시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아래의 상황은 기업의 펀더멘탈과 전혀 관련이 없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ROE가 상승했을 때, 실적 보고서를 통해 어떤 요인에 의해서 ROE가 상승했는지 확인해봐야 한다.

 

  • 스타트업 회사 투자 수익, 비트코인 투자 수익 등과 같이 본사업과 관련 없는 투자 수익이 발생해도 당기순이익은 올라가고 ROE가 높아진다.
  • 엄청난 구조조정 및 연구개발 투자를 중단해도 당기순이익은 올라가고 ROE가 높아진다.

 

그런데, 개인이 회사의 실적 보고서를 일일이 따져보며 ROE가 높아진 이유를 분석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약 5년간의 매출, 당기순이익, ROE를 통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고 꾸준히 기업의 실적이 좋아지고 있는 건지 확인하는 방법을 추천한다.

 

 

 

4. 꾸준한 ROE 상승?

 

꾸준한 ROE 상승은 정말 어렵다. 매년 ROE가 증가하기 위해서는 그냥 흑자만 내서는 안되고 매년 전년도 순수익을 넘어설 정도로 크게 증가해야 한다.
그 원리는 또다시 치킨집을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 ROE = (당기순이익 ÷ 자기 자본) X 100

 

10억으로 치킨집 사업을 시작했는데, 첫해 2억의 순수익이 발생했다면 치킨집의 ROE는 20%가 된다.
첫해의 자기 자본은 10억이고 당기순이익은 2억이다.
둘째 해도 첫해와 동일하게 2억의 순수익이 발생했다면, 치킨집의 ROE는 16.67%가 된다.
순이익은 전년과 동일한데, ROE가 낮아졌다.

그 이유는 첫해의 순수익이 둘째 해의 자기 자본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ROE 공식에서 분자인 당기순이익은 첫해/둘째 해 2억으로 동일한데, 분모인 자기 자본은 첫해는 10억이고 둘째 해는 첫해의 순수익 2억을 포함해서 12억이 된다.

 

  • 첫해 치킨집 ROE = (당기순이익 2억 ÷ 자기 자본 10억) X 100 = 20%
  • 둘째 해 치킨집 ROE = [당기순이익 2억 ÷(자기 자본 10억 + 첫해 당기순이익 2억)] X 100 = 16.67%

 

따라서, 치킨집의 순수익이 증가하지 않고 유지된다면, 그 순수익이 엄청나게 높더라도 매년 증가하지 못한다면, ROE는 시간이 지나면서 줄어들게 된다.

즉, ROE가 매년 높아진다면, 그 기업은 엄청나게 효율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걸 의미한다.

 

 

5. ROE 확인 방법

 

네이버 금융/네이버 증권에서 간단하게 ROE를 조회하는 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예시로, 우리나라의 대표 회사인 삼성전자의 ROE를 확인해 보겠다.

 

1단계. 네이버 검색 창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한다. 그다음, 스크롤을 아래로 내려서 '재무정보'를 클릭한다.

 

[출처: naver.com]


2단계.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삼성전자의 ROE를 확인할 수 있다. 2021년 ROE는 13.92%이고 2022년 ROE는 11.71%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naver.com]

 

 

6. ROE가 높은 기업 검색 방법

 

네이버금융(네이버증권)을 통해 ROE가 높은 기업들을 찾을 수 있다. 아쉽게도 PC페이지에서만 검색 기능이 제공된다. 핸드폰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페이지에서 PC페이지로 변환하면 된다.

1단계. 네이버금융(네이버증권) 상단의 국내증시를 선택한다.

2단계. 좌측 메뉴에서 시가총액을 선택한다.

3단계. 상단의 선택창에서 ROE만 선택하고 적용하기를 선택한다. 아래와 같이 기업들의 ROE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출처: naver.com]

 

 

7. ROE 활용 방법

 

가장 전통적인 종목 선별 방법 중에 하나를 소개하려고 한다. PER/PBR/ROE를 동시에 활용하는 방법이다.

1단계. 매수하고 싶은 종목들을 선별한다.
2단계. 종목들을 ROE를 기준으로 나열한다.
3단계. ROE가 높고 PER/PBR이 낮은 종목을 매수한다.

너무 단순한 방법이기 때문에 참고만 했으면 한다.